본문 바로가기
필기 자료실/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주택 동선 계획과 한식 주택

by 자준모 2023. 3. 18.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주택 동선 계획과 한식 주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동선 계획과 한식 주택

1. 동선 계획

    가) 동선의 3요소 : 하중, 길이, 빈도
    나) 교통량이 많은 공간은 상호 간 인접 배치하여 동선을 짧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다) 가사노동의 동선은 가능한 남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라) 개인, 사회, 가사노동권의 3개 동선은 상호간 분리하는 것이 좋다
    마) 화장실, 현관, 계단 등과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공간의 동선은 짧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바) 부엌가구의 배치 형태에서는 ㄷ자형 배치가 동선의 길이를 가장 짧게 할 수 있다.
   

2. 한식 주택

    가) 한식 주택은 공간의 융통성이 높다.
    나) 양식 주택에서 가구는 주요한 내용물로 보지만 한식 주택에서는 부수적인 내용물로 본다.
    다) 좌식 생활 중심이다.
    라) 평면은 실의 위치별 분화이다.
   
 
 

기출문제

1. 다음 중 공간의 레이아웃(layout)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은? 나
    가) 재료계획
    나) 동선계획
    다) 설비계획
    라) 색채계획
 
동선은 사람이나 물건이 특정 목적을 위해 움직이는 선으로 공간 레이아웃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답은 나)
 
2. 동선의 3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다
    가) 길이
    나) 빈도
    다) 방향
    라) 하중
 
동선의 3요소는 하중, 길이, 빈도이다.
답은 다)
 
3. 동선의 3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라
    가) 속도
    나) 빈도
    다) 하중
    라) 방향
 
동선의 3요소는 하중, 길이, 빈도이다.
답은 라)
 
4. 다음 중 동선의 길이를 가장 짧게 할 수 있는 부엌가구의 배치형태는? 라
    가) 일자형
    나) ㄱ자형
    다) 병렬형
    라) ㄷ 자형
 
ㄷ자형 : ㄷ자의 중심에 개수대를 두고, 좌우에 조리대와 가열대를 배치하는 형태로 불필요한 통행이 없어 동선은 절약되나 좁은 부엌에는 적합하지 않다.
답은 라)
 
5. 주택의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가) 동선에는 독립적인 공간을 두지 않는다.
    나) 동선은 가능한 짧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다) 서로 다른 동선은 교차하지 않도록 한다.
    라) 가사노동의 동선은 가능한 남측에 위치시킨다.
 
동선에서 독립적인 공간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답은 가)
 
6. 주택의 동선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나
    가) 상호간의 상이한 유형의 동선은 분리한다.
    나) 교통량이 많은 동선을 가능한 길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다) 가사노동의 동선은 가능한 남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라) 개인, 회사, 기사노동권의 3개 동선은 상호 간 분리하는 것이 좋다.
 
교통량이 많은 공간은 상호 간 인접하게 배치하여 동선을 짧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답은 나)
 
7. 주택의 동선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
    가) 동선은 일상생활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선이다.
    나) 동선이 혼란하면 생활권의 독립성이 상실된다.
    다) 동선 계획에서 동선을 이용하는 빈도는 무시한다.
    라) 개인, 사회, 가사노동권의 3개 동선이 서로 분리되어 간섭이 없어야 한다.
 
동선 계획에서 동선의 3요소는 하중, 길이 빈도이다.
답은 다)
 
8. 주택의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라
    가) 교통량이 많은 공간은 상호간 인접 배치하는 것이 좋다.
    나) 가사노동의 동선은 가능한 남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다) 개인, 사회, 가사노동권의 3개 동선은 상호간 분리하는 것이 좋다.
    라) 화장실, 현관, 계단 등과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공간의 동선을 길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사용빈도가 높은 공간의 동선은 짧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답은 라)
 
9. 다음 중 주택의 현관 바닥면에서 실내 바닥면까지의 높이차로 가장 적당한 것은? 나
    가) 5cm
    나) 15cm
    다) 30cm
    라) 40cm
 
현관 바닥면에서 실내 바닥변까지의 높이 차는 15~21cm가 적당
답은 나)
 
10. 한식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가) 공간의 융통성이 낮다.
    나) 가구는 부수적인 내용물이다.
    다) 평면은 실의 위치별 분화이다.
    라) 각 실이 마루로 연결된 조합 평민이다.
 
한식 주택은 공간의 융통성이 높다
답은 가)
 
11. 한식주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나
    가) 좌식 생활 중심이다.
    나) 공간의 융통성이 낮다.
    다) 가구는 부수적인 내용물이다.
    라) 평면은 실의 위치별 분화이다.
 
한식 주택은 공간의 융통성이 높다
답은 나)
 
12. 한식 주택과 양식 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라
    가) 한식 주택의 실은 복합용도이다.
    나) 양식 주택의 평면은 실의 기능별 분화이다.
    다) 한식 주택은 개구부가 크며 양식 주택은 개구부가 작다.
    라) 한식 주택에서 가구는 주요한 내용물로써의 기능을 한다.
 
양식 주택에서 가구는 주요한 내용물로 보지만 한식 주택에서는 부수적인 내용물로 본다.
답은 라)
 
 

동선계획 타이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