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특수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특수구조
1. 현수구조와 사장구조
가) 현수구조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강제케이블로 연결한 다음, 지붕 또는 바닥판을 매단구조로 케이블에는 인장력이 작용(영종대교, 남해대교 등)
나) 주탑에서 늘어뜨린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판이 구조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외관도 수려함(서해대교, 신행주대교, 올림픽대교)
다) 케이블로 매단 구조는 현수 구조와 사장 구조가 있고, 케이블 구조에는 압축력은 발생하지 않고 인장력만 작용한다.
2. 절판구조
가) 평면을 아코디언과 같이 주름을 잡아 지지하중을 증가시킨 구조
나) 나무나 강철, 알루미늄, 철근 콘크리트 등을 여러 번 접는 형태로 강성을 얻기 쉽다.
다) 편면형상으로 시공이 쉽고 구조적 강성이 우수하여 대공간 지붕 구조로 적합하다.
라) 얇은 강판을 접어 바닥을 구성하는 구조로 공간이 협소하여 철근의 배근이 어렵다.
마) 대공간 지붕 구조로 적합
3. 셀구조
가) 지붕에 사용하는 구조재로써 곡면판을 외각에 사용한 구조로 휘어진 얇은 판을 이용한 구조
나)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로서 외력은 주로 판의 면내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경량이고 내력이 큰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음
다) 가볍고 강성이 우수한 구조 시스템으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할 때 사용됨
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4. 공기막구조
가) 일정한 형태의 막을 제작하거나 막과 막 사이에 공기를 넣어 그 압력에 의하여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막 구조물로써 설치, 이동이 간편
나) 송풍에 의한 내압으로 외기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을 주고, 압력에 의한 장력으로 공간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추구한 구조
다) 막구조에는 막의 무게를 골조가 지지하는 골조막구조, 막의 무게를 케이블로 당겨지는 현수막구조, 막의 형태를 공기압으로 유지시키는 공기막구조, 골조, 현수, 공기막구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막구조가 있다.
5. 컨틸레버식 구조
가) 부재를 한쪽 벽면에 고정시켜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조
나) 베란다, 현관, 처마 등
1. 구조형식 중 서로 관계가 먼 것끼리 연결된 것은?
가) 박판 구조 - 곡면 구조
나) 가구식 구조 - 목구조
다) 현수식 구조 - 공기막 구조
라) 일체식 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
현수식 구조는 케이블 구조로 케이블 구조에는 현수식 구조와 사장구조가 있다.
2. 바닥 등의 슬래브를 케이블로 매단 특수구조는?
가) 공기막 구조
나) 현수 구조
다) 커튼월 구조
라) 쉘 구조
케이블로 매단 특수구조에는 현수 구조와 사장구조가 있고
케이블 구조는 압축력이 발생하지 않고 인장력만 작용한다.
3. 다음 중 압축력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시스템은?
가) 케이블 구조
나) 트러스 구조
다) 절판 구조
라) 철골 구조
케이블 구조는 압축력이 발생하지 않고 인장력만 발생한다.
4. 케이블을 이용한 구조로만 연결된 것은?
가) 현수구조 – 사장구조
나) 현수구조 - 셀구조
다) 절판구조 – 사장구조
라) 막구조 – 돔구조
케이블 구조에는 현수구조와 사장구조가 있다.
5. Suspension Cable에 의한 지붕구조는 케이블의 어떠한 저항력을 이용한 것인가?
가) 휨모멘트
나) 압축력
다) 인장력
라) 전단력
케이블구조는 인장력만 받음
6. 절판구조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강성을 얻기 쉽다.
나) 슬래브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다) 음향 성능이 우수하다.
라) 철근배근이 용이하다.
절판구조는 평면을 아코디언과 같이 주름을 잡아 지지하중을 증가시킨 구조로 공간이 협소하여 철근 배근이 어렵다.
7. 자중도 지지하기 어려운 평면체를 아코디언과 같이 주름을 잡아 지지하중을 증가시킨 구조형태는?
가) 절판구조
나) 셸구조
다) 돔구조
라) 입체트러스
평면을 아코디언과 같이 주름을 잡아 지지하중을 증가시킨 구조는 절판구조이다.
8. 평면형상으로 시공이 쉽고 구조적 강성이 우수하여 대공간 지붕 구조로 적합한 것은?
가) 돔구조
나) 셸구조
다) 절판구조
라) PC구조
절판구조는 평면을 주름을 잡아 지지하중을 증가시킨 구조로 구조적 강성이 뛰어나고 대공간 지붕 구조로 적합하다.
9. 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얇은 곡면 형태의 판을 사용한 구조이다.
나) 가볍고 강성이 우수한 구조 시스템이다.
다)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할 때 이용된다.
라) 재료는 주로 텐트나 천막과 같은 특수천을 사용한다.
텐트나 천막과 같은 특수천을 사용하는 것은 "막구조"이다.
10. 다음 중 셀구조의 대표적인 구조물은?
가) 세종문화회관
나)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다) 인천대교
라)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
셀구조는 곡면판을 외각에 사용한 구조로 휘어진 얇은 판을 이용한 구조이며, 셀구조의 대표적인 구조물은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이다.
11. 다음 구조형식 중 셀구조인 것은?
가) 잠실 운동장
나) 파리 에펠탑
다) 서울 월드컵 경기장
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셀구조는 곡면판을 외각에 사용한 구조로 휘어진 얇은 판을 이용한 구조이며, 셀구조의 대표적인 구조물은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이다.
12.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로서 외력은 주로 판의 면내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경량이고 내력이 큰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은?
가) 셀구조
나) 철골구조
다) 현수구조
라) 커튼월구조
셀구조는 곡면판을 외각에 사용한 구조로 휘어진 얇은 판을 이용한 구조이다.
13. 송풍에 의한 내압으로 외기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을 주고, 압력에 의한 장력으로 공간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추구한 건축구조는?
가) 절판 구조
나) 공기막 구조
다) 셸 구조
라) 현수 구조
14. 막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넓은 공간을 덮을 수 있다.
나) 힘의 흐름이 불명확하여 구조해석이 난해하다.
다) 막재에는 항시 압축응력이 작용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라)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는 파손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막구조는 인장, 전달력에만 견디는 막재료를 쓰는 것으로 텐트 구조. 서스펜션 막구조. 공기막 구조가 주이다
15. 하중전달과 지지방법에 따른 막구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골조막구조
나) 현수막구조
다) 공기지지구조
라) 절판막구조
1.골조막구조 - 막의 무게를 골조가 지지하는 구조
2.현수막구조 - 막의 무게를 케이블로 당겨지지 하는 구조
3.공기막구조 - 막의 형태를 공기압으로 유지시키는 구조
4.하이브리드 막구조 - 골조, 현수, 공기막구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구조
16. 건물의 지붕에 적용된 공기막구조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가) 구조재의 자중이 무거워 대스팬구조에 불리하다.
나) 내외부의 기압의 차를 이용하여 공간을 확보한다.
다) 아치를 양방향으로 확장한 형태다.
라) 얇은 두께의 콘크리트 내부에 섬유막을 함유하였다.
17. 내면에 균일한 인장력을 분포시켜 얇은 합성수지 계통의 천을 지지하여 지붕을 구성하는 구조는?
가) 입체트러스구조
나) 막구조
다) 철판구조
라) 조적식구조
18. 재질이 가볍고 투명성이 좋아 채광을 필요로 하는 대공간 지붕 구조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막구조
나) 셸구조
다) 절판구조
라) 케이블구조
19. 다음 중 중 입체구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절판구조
나) 아치구조
다) 셀구조
라) 돔구조
평면구조에는 벽식구조, 라멘구조, 트러스 구조, 아치구조 등이 있고, 입체구조에는 셀구조, 돔구조, 절판구조, 곡면판구조, 입체트러스구조, 현수구조 등이 있다.
20. 입체 구조 시스템의 하나로서, 축방향만으로 힘을 받는 직선재를 핀으로 결합하여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구조 시스템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막구조
나) 셸구조
다) 현수구조
라) 입체트러스구조
직선재를 핀으로 결합하여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구조 시스템은 트러스 구조이다.
21. 다음 중 인장링이 필요한 구조는?
가) 트러스
나) 막구조
다) 철판구조
라) 돔구조
인장링 : 돔 하부(지붕외부)에 설치하여 인장력에 저항한다.
'필기 자료실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붕에 사용되는 부재 및 목조공사 보강철물 (0) | 2023.03.21 |
---|---|
지붕의 종류와 물매 (0) | 2023.03.20 |
주택 동선 계획과 한식 주택 (0) | 2023.03.18 |
주택의 실 구성 형식 (0) | 2023.03.17 |
주택단지의 단위와 단독주택의 현관 및 침실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