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주택의 실 구성 형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주택의 실 구성 형식과 식당 및 부엌
1. 주택의 실 구성 형식
※ L(Living room : 거실), D(Dining room : 식당), K(Kitchen : 주방)
가) 리빙키친(LDK형, LK) : 소규모 주택에서 많이 사용하고, 거실 내에 부엌과 식사실을 설치한 것
나) 리빙다이닝(LD) : 거실의 한 부분에 식탁을 설치한 것
다) 다이닝키친(DK) : 소규모 주택에서 많이 사용하는 형태로 공간을 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식당을 부엌 공간 내에 함께 만든 부엌형태로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고, 주부노동력도 절감할 수 있다
2. 주택의 식당 및 부엌
가) 색당의 색채는 채도가 높은 난색계통이 바람직함
나) 주택의 주방과 식당 계획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은 작업동선
다) 부엌의 작업대는 준비대 → 개수대 → 조리대 → 가열대 → 배선대의 순서로 배치
라) 부엌의 작업 삼각형은 냉장고, 조리대, 개수대를 말하며 이 세 곳이 삼각형의 형태로 분리되어야 효율적인 배치가 되었다고 본다.
마) 키친너트 : 작업대 길이가 2m정도인 일반적으로 냉장고와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제품이 포함된 작은 조리용 공간
바) 부엌가구 배치 유형에서 병렬형은 양쪽 벽변에 작업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한 것으로 부엌 폭의 길이에 비해 넓은 부엌의 형태에 적당한 형식
1. 주택의 주방과 식당 계획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가) 채광
나) 조명배치
다) 작업동선
라) 색채조화
주택의 주방과 식당 계획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은 작업동선
답은 다)
2. 주택의 부엌에서 작업 삼각형(Work triangle)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가) 냉장고
나) 배선대
다) 개수대
라) 가열대
부엌의 작업 삼각형은 냉장고, 조리대(가열대), 개수대를 말하며 이 세 곳이 삼각형의 형태로 분리되어야 효율적인 배치가 되었다고 본다.
답은 나)
3. 주택의 식당 및 부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식당의 색채는 채도가 높은 한색계통이 바람직하다.
나) 식당은 부엌과 거실의 중간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다) 부엌의 작업대는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의 순서로 매치한다.
라) 키친네트는 작업대 길이가 2m 정도인 소형 주방가구가 배치된 간이 부엌의 형태이다.
식당의 색채는 채도가 높은 난색계통이 바람직하다.
답은 가)
4. 다음 설명에 알맞은 주택 부엌의 유형은?
- 작업대 길이가 2m 정도인 소형 주방가구가 설치된 간이 부엌의 형식이다. - 사무실이나 독신자 아파트에 주로 설치된다. |
가) 키친너트(kitchenette)
나) 오픈 키친(open kitchen)
다) 리빙키친(living kitchen)
라) 다이닝 키친(dining kitchen)
작업대 길이가 2m정도인 냉장고, 전자 레이지 등의 가전제품이 포함된 조리용 공간은 키친너트이다.
답은 가)
5. 다음 설명에 알맞은 주택의 실구성형식은?
- 소규모 주택에서 많이 사용된다. - 거실 내에 부엌과 식사실을 설치한 것이다. - 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
가) K형
나) D형
다) LD형
라) LDK형
거실 내에 부엌과 식사실을 설치한 것은 LDK형이다.
답은 라)
6. 주택의 다이닝 키친(dining kitche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면적 활용도가 높아 효율적이다.
나) 주부의 가사 노동량을 줄일 수 있다.
다) 소규모 주택에서는 적용이 곤란하다.
라) 이상적인 식사 공간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식당을 부엌 공간 내에 만든 부엌형태로 소규모 주택에서 많이 사용한다.
답은 다)
7. 주택계획에서 다이닝 키친(Dining Kitche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공간 활용도가 높다.
나) 주부의 동선이 단축된다.
다) 소규모 주택에 적합하다.
라) 거실의 일단에 식탁을 꾸며 놓은 것이다.
거실의 일단에 식탁을 꾸며 놓은 것이 아니고 부엌의 일단에 식탁을 꾸며 좋은 것이다.
답은 라)
8. 주택에서 식당의 배치유형 중 주방의 일부에 간단한 식탁을 설치하거나 식당과 주방을 하나로 구성한 형태는?
가) 리빙 키친
나) 리빙 다이닝
다) 다이닝 키친
라) 다이닝 테라스
부엌(주방)의 일부에 식당(식탁)을 설치한 형태는 다이닝 키친이다.
답은 다)
9. 부엌의 일부에 간단히 식당을 꾸민 형식은?
가) 리빙 키친(living kitchen)
나) 다이닝 포치(dining porch)
다) 다이닝 키친(dining kitchen)
라) 다이닝 테라스(dining terrace)
부엌의 일부에 식당(식탁)을 꾸민 형식은 다이닝 키친이다.
답은 다)
10. 다음 중 소규모 주택에서 다이닝 키친(Dining kitchen)을 채택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공사비의 절약
나) 실면적의 절약
다) 조리시간의 단축
라) 주부노동력의 절감
다이닝 키친은 노동력은 절감할 수 있으나 조리시간이 단축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답은 다)
11. 다음 설명에 알맞은 주택 부엌가구의 배치 유형은?
- 양쪽 벽면에 작업대가 마주보도록 배치한 것이다. - 부엌 폭의 길이에 비해 넓은 부엌의 형태에 적당한 평식이다. |
가) L자형
나) 일자형
다) 병렬형
라) 아일랜드형
양쪽 벽면에 작업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한 것은 병렬형
답은 다)
12.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주택 부엌 가구의 배치 유형은?
- 작업 동선은 줄일 수 있지만 몸을 앞뒤로 바꾸는데 불편하다. - 양쪽 벽면에 작업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한 것으로 부엌의 폭이 길이에 비해 넓은 부엌의 형태에 적당한 형식이다. |
가) L자형
나) U자형
다) 병렬형
라) 아일랜드형
양쪽 벽면에 작업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한 것은 병렬형
답은 다)
'필기 자료실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 구조 (1) | 2023.03.19 |
---|---|
주택 동선 계획과 한식 주택 (0) | 2023.03.18 |
주택단지의 단위와 단독주택의 현관 및 침실 (0) | 2023.03.16 |
공동주택 및 아파트의 평면형식상 분류 (0) | 2023.03.15 |
목구조 (1)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