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벽식 구조와 라멘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벽식구조와 라멘구조
1) 벽식구조
벽식구조는 보와 기둥이 없이 벽을 만들어 벽이 보와 기둥의 역할을 하는 구조로 국내의 아파트 대부분이 벽식구조이다. 벽식 구조는 벽 자체가 구조재이기 때문에 벽을 허물거나 하면 안 되어 공간활용이 고정된다.
2) 라멘구조
라멘구조는 대부분의 상가나 오피스 빌딩에 사용하는 구조로 천장에 수평으로 설치한 보를 기둥이 받치는 방식으로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벽이 구조재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 활용하기에 좋은 구조이다.
2. 내력벽과 비내력벽
1) 내력벽
내력벽은 구조재로써, 상층 슬라브가 받는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벽이다. 내력벽은 철거를 하면 안된다.
※ 대린벽 :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내력벽으로 그 중심선간의 거리를 벽의 길이라고 한다.
※ 전단벽 : 벽체의 면내로 평행하게 작용하는 수평력에 저항하도록 설계된 구조벽으로 바람이나 지진에 의한 수평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벽
※ 부축벽 : 외력에 쓰러지지 않게 부축하기 위해 달아낸 벽으로 상부에서 전달되는 집중하중 또는 수평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벽
1-1) 보강블록조의 내력벽 쌓이는 다음과 같다.
※ 보강 블록조 : 블록의 중공부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보강한 것으로 수평하중과 수직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
가) 벽 두께는 층수가 많을수록 두껍게 하며 최소 두께는 150mm 이상으로 한다.
나) 위층의 내력벽과 아래층의 내력벽은 바로 위, 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다) 일반적으로 벽 두께를 늘리는 것보다 벽량을 크게 하는 쪽이 유효하다.
※ 벽량 : 단위면적에 대한 내력벽의 길이로 내력벽 길이의 합계는 일반적으로 150mm/m2 이상
라) 긴 벽이 연속된 것이 짧은 벽이 많이 있는 것보다 좋다.
마) 보강 블록조는 통줄눈으로 시공해도 무방하다.
바) 벽에 철근이 충분히 들어있는 경우에도 테두리보를 두어야 한다.
사)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 면적은 80m2를 넘지 않아야 한다.
아) 내력벽은 그 끝 부분과 벽의 모서리 부분에 12mm 이상의 철근을 세로로 배치한다.
자) 내력벽의 두께는 150mm 이상, 벽 높이의 1/16 이상, 벽 길이의 1/50 이상 중에서 큰 값으로 한다.
차) 벽량은 내력벽 길이의 합계를 그 층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최소 벽량은 150mm/m2 이상으로 한다.
1-2) 조적조 구조제한
가) 벽돌조 벽체의 두께 : 벽 높이의 1/20 (블록벽은 1/16)
나) 최상층의 내력벽의 높이 : 4m이하
다) 내력벽의 최대길이 : 10m이하
라) 내력벽을 둘러쌓인 부분의 최대바닥 면적 : 80m2이하
2) 비내력벽
비내력벽은 구조재가 아닌 단순히 공간을 구분하는 역할만 하는 벽으로 구조적인 역할이 없다. 그래서 비내력벽은 철거가 가능하다.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 장막벽 : 구조 내력을 기대하지 않는 단순한 칸막이로서의 벽으로 철근 콘크리트, 철골 등으로 보와 기둥을 구성하고 그 사이에 만든 벽
나) 중공벽 : 방습, 방음, 방열 등을 위하여 중간에 공간을 둔 벽
다) 커튼 월 : 투명 유리 혹은 반사유리를 사용한 빌딩 외벽 마감으로 한국 건축 용어로는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한다.
1. 역학구조상 비내력벽에 포함되지 않는 벽은?
가) 장막벽
나) 칸막이벽
다) 전단벽
라) 커튼월
내력벽은 상층 슬라브가 받는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벽으로 대린벽, 전단벽, 부축벽 등이 있다.
비내력벽은 구조재가 아닌 공간을 구분하는 역할만 하는 벽으로 장막벽, 중공벽, 커튼 월등이 있다.
답은 다)
2. 블록의 중공부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부어넣어 보강한 것으로써 수평하중 및 수직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는?
가) 보강 블록조
나) 조적식 블록조
다) 장막벽 블록조
라) 차폐용 블록조
블록의 빈 속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수직, 수평하중에 견딜 수 있게 만든 내력벽 블록구조이다.
답은 가)
3. 보강콘크리트 블록조 단층에서 내력벽의 벽량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가) 10㎝/m2
나) 15㎝/m2
다) 20㎝/m2
라) 25㎝/m2
내력벽의 벽량은 150mm/m2 이상이다
답은 나)
4. 보강블록조에서 내력벽 벽량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가) 15cm/㎡
나) 20cm/㎡
다) 25cm/㎡
라) 28cm/㎡
내력벽의 벽량은 150mm/m2 이상이다
답은 나)
5. 보강블록조에서 내력벽의 두께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가) 50㎜
나) 100㎜
다) 150㎜
라) 200㎜
내력벽의 벽량은 150mm/m2 이상이다
답은 나)
6. 보강블록조의 내력벽 구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벽두께는 층수가 많을수록 두껍게 하며 최소 두께는 150㎜ 이상으로 한다.
나) 수평력에 강하게 하려면 벽량을 증가시킨다.
다) 위층의 내력벽과 아래층의 내력벽은 바로 위·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라) 벽길이와 합계가 같을 때 벽길이를 크게 분할하는 것보다 짧은 벽이 많이 있는 것이 좋다.
벽길이와 합계가 같을 경우 벽길이를 크게 분할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답은 라)
7. 바닥 면적이 40m2일 때 보강콘크리트블록조의 내력벽 길이의 총합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가) 4m
나) 6m
다) 8m
라) 10m
내력벽의 벽량은 150mm/m2
바닥 면적이 40m2이므로 40m X 0.15(m : 150mm를 m로 환산한 값) = 6m
답은 나)
8. 벽돌조에서 내력벽의 두께는 당해 벽높이의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가) 1/8
나) 1/12
다) 1/16
라) 1/20
벽돌조 내력벽 두께: 1/20 벽높이
(보강)블록조 내력벽 두께: 1/16 벽높이
답은 라)
9. 조적조에서 내력벽의 길이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가) 6m
나) 8m
다) 10m
라) 15m
조적조 구조제한
1.벽돌조 벽체의 두께 : 벽 높이의 1/20 (블록벽은 1/16)
2.최상층의 내력벽의 높이 : 4m이하
3.내력벽의 최대길이 : 10m이하
4.내력벽을 둘러쌓인 부분의 최대바닥 면적 : 80m2이하
답은 다)
10. 조적조에서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최대 몇 m2 이하로 해야 하는가?
가) 40m2
나) 60m2
다) 80m2
라) 100m2
조적조 구조제한
1.벽돌조 벽체의 두께 : 벽 높이의 1/20 (블록벽은 1/16)
2.최상층의 내력벽의 높이 : 4m이하
3.내력벽의 최대길이 : 10m이하
4.내력벽을 둘러쌓인 부분의 최대바닥 면적 : 80m2이하
답은 다)
11. 조적조의 내벽력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몇 m2 이하로 해야 하는가?
가) 80m2
나) 90m2
다) 100m2
라) 120m2
조적조 구조제한
1.벽돌조 벽체의 두께 : 벽 높이의 1/20 (블록벽은 1/16)
2.최상층의 내력벽의 높이 : 4m이하
3.내력벽의 최대길이 : 10m이하
4.내력벽을 둘러쌓인 부분의 최대바닥 면적 : 80m2이하
답은 가)
12. 벽돌조에서 내력벽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벽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대린벽
나) 중공벽
다) 장막벽
라) 칸막이벽
대린벽: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내력벽을 말하고 그 중심선간의 거리를 벽의 길이라고 한다.
부축벽 : 외력에 쓰러지지 않게 부축하기 위해 달아낸 벽
13. 초고층 건물의 구조시스템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내력벽 시스템
나) 아웃리거 시스템
다) 튜브 시스템
라) 가새 시스템
내력벽 구조는 자중이 무거워 초고층 건물에 적용하기 힘들다.
아웃리거(Outrigger)를 설치하거나 가새 등을 이용한 철골구조를 사용하여 초고층 골조 강성을 증가시킨다.
14. 다음은 조적조 내력벽 위에 설치하는 테두리보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숫자는?
1층인 건축물로서 벽두께가 벽의 높이의 16분의 1 이상이거나 벽길이가 ( )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목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할 수 있다. |
가) 3
나) 4
다) 5
라) 6
답은 다)
15. 대린벽으로 구획된 벽돌조 내력벽의 벽길이가 7m일 때 개구부의 폭의 합계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는가?
가) 3m
나) 3.5m
다) 4m
라) 4.5m
개구부의 합계 = 내력벽 길이 / 2 = 7 / 2 = 3.5
답은 나)
16. 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콘크리트 기초판에서 기초벽의 두께는 최소 얼마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가) 150mm
나) 200mm
다) 250mm
라) 300mm
기초판은 200mm 기초판에서의 기초벽은 기초판중심에서250mm두께로 한다.
답은 다)
'필기 자료실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점토 제품 (1) | 2023.07.04 |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색채 (1) | 2023.06.24 |
건축법 (0) | 2023.06.02 |
강도와 강의 열처리 방법 (0) | 2023.03.25 |
재료의 역학적 성질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