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강도와 강의 열처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강도의 종류와 강의 열처리 방법
1. 강도의 종류
가) 강도란 물체의 강한 정도, 재료에 하중이 걸린 경우, 재료가 파괴되기까지의 변형저항
나) 피로강도 : 재료가 반복하중을 받는 경우 정적강도보다 낮은 강도에서 파괴도는 응력의 한계
다) 정적강도 : 외력을 일정한 속도로 서서하 가할 때 측정된 강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 등이 있다.
라) 동적강도 : 강도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충격강도 등이 있다.
마) 충격강도 : 부재가 충격하중을 받을 때 파괴 되지 않도록 저항하는 능력
바 크리프강도 : 크리프란 하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재료의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하며 크리프에 의해 파단되는 순간의 최대 하중을 크리프 강도라 함
사) 압축강도 : 어떤 물체가 압축에 대해 어느 정도 견뎌낼 수 있는지의 한도를 나타내는 수치
아) 인장강도 : 재료가 인장 시험에 있어서 시험편이 파단할 때까지의 최대 인장 하중을 시험 전 시험편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강재의 인장강도가 최대가 되는 온도는 250°
2. 강의 열처리 방법
가) 담금질 : 높은 온도로 가열된 강을 물이나 기름에 냉각시키는 것으로 강도와 경도는 증가되고 신장률은 감소함
나) 풀림 : 금속 재료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서서히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조작으로 가공 또는 담금질로 경화된 재료의 내부 균열을 제거하고 결정 입자를 미세화하여 전연성을 높인다.
다) 뜨임 : 강을 담금질하면 경도는 커지나 메지기 쉬우므로 이를 적당한 온도로 재가열 했다가 공기 속에서 냉각, 조직을 연화 안정시켜 내부 응력을 없애는 조작
라) 불림 : 강을 표준상태로 만들기 위한 열처리로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 냉각하는 것
1. 건축재료의 강도구분에 있어서 정적강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압축강도
나) 충격강도
다) 인장강도
라) 전단강도
정적강도 : 외력을 일정한 속도로 서서하 가할 때 측정된 강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 등이 있다.
답은 나)
2. 강재의 인장강도가 최대가 되는 온도는 대략 어느 정도인가?
가) 0℃
나) 150℃
다) 250℃
라) 500℃
강재의 인장강도가 최대가 되는 온도는 250°
답은 다)
3. 재료가 반복하중을 받는 경우 정적강도보다 낮은 강도에서 파괴되는 응력의 한계로 옳은 것은?
가) 정적강도
나) 충격강도
다) 크리프강도
라) 피로강도
정적강도 : 외력을 일정한 속도로 서서하 가할 때 측정된 강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 등이 있다.
충격강도 : 부재가 충격하중을 받을 때 파괴 되지 않도록 저항하는 능력
크리프강도 : 크리프란 하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재료의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하며 크리프에 의해 파단되는 순간의 최대 하중을 크리프 강도라 함
답은 라)
4. 탄소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철에 끼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연신율의 증가
나) 항복강도의 증가
다) 경도의 증가
라) 용접성의 저하
철에 탄소를 증가하면 강도와 경도가 증가한다. 즉, 연신율은 감소한다.
답은 가)
5. 강의 열처리 방법 중 담금질에 의하여 감소하는 것은?
가) 강도
나) 경도
다) 신장률
라) 전기저항
강의 열처리 방법 중 담금질을 하면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고 신장률은 감소한다.
답은 다)
6. KS F 3126(치장 목절 마루판)에서 요구하는 치장 목질 마루판의 성능기준과 관련된 시험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내마모성
나) 압축강도
다) 접착성
라)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시험항목 : 휨 강도, 평면인장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긁힘성, 내오염성, 흡수 두께 팽창율, 치수변화율, 내변퇴색성, 포름알데히드방산량, 접착성, 함수율
답은 나)
7. 건축재료의 각 성능과 연관된 항목들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가) 역학적 성능 - 연소성, 인화성, 용융성, 발연성
나) 화학적 성능 - 강도, 변형, 탄성계수, 크리프, 인성
다) 내구성능 - 산화, 변질, 풍화, 충해, 부패
라) 방화, 내화성능 - 비중, 경도, 수축, 수분의 투과와 반사
내구성능: 산화, 변질, 풍화, 충해, 부패
답은 다)
8. 구조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다
가) 재질이 균일하여야 한다.
나) 강도가 큰 것이어야 한다.
다) 탄력성이 있고 자중이 커야 한다.
라) 가공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구조재료에 요구되는 성질: 균일성, 내구성, 가공성
답은 다)
'필기 자료실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식구조와 라멘구조 내력벽과 비내력벽 (0) | 2023.06.23 |
---|---|
건축법 (0) | 2023.06.02 |
재료의 역학적 성질 (0) | 2023.03.24 |
유리의 종류 및 문 관련 장치 (0) | 2023.03.23 |
창 및 문의 부재 및 기호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