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필기 자료실/컴퓨터활용능력2급57

부분합 및 윤곽 이번 시간에는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부분합 및 윤곽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부분합 및 윤곽 1. 부분합 및 윤곽 설명 부분합은 입력된 자료들을 그룹별로 분류하고, 해당 그룹별로 원하는 함수를 이용한 계산 결과를 볼 수 있는 기능으로 부분합을 작성할 때 기준이 되는 필드는 부분합을 실행하기 전에 반드시 정렬이 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룹화 할 항목'에서 정렬했던 필드를 선택을 해야 한다. 부분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는 '합계', '개수', '평균', '최대', '최소', '곱', '숫자 개수', '표본 표준 편차', '표준 편차', '표본 분산', '분산'이 있다. 부분합이 계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부분합을 추가하고자 할 때는 '새로운 값으로 대치' 설정을 해제하.. 2023. 4. 26.
엑셀 정렬 이번 시간에는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정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정렬 정렬은 입력된 자료들을 특정한 순서에 따라 재배열하는 기능으로 엑셀에서는 오름차순 정렬, 내림차순 정렬, 사용자 지정 정렬 기능이 있습니다. 오름차순 정렬은 사전에 나오는 순서(문자는 가, 나, 다, 라 순서, 숫자는 1, 2, 3, 4 순서)대로 정렬이 되는 방식이고, 내림차순 정렬은 오른차순의 역순으로 정렬이 되는 방식이며, 사용자 지정 정렬은 사용자가 정렬의 순서를 임의로 지정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정렬 기준은 최대 64개까지 지정이 가능합니다. 만약 숫자와 문자가 섞여 있는 자료라면 오름차순 정렬은 숫자 → 문자(특수문자) → 영문소문자 → 영문대문자 → 한글 → 논리값(FALSE → T.. 2023. 4. 25.
피벗테이블 이번 시간에는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피벗테이블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피벗테이블 피벗 테이블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손쉽게 요약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으로 현재 작업 중인 워크시트 새로운 워크시트에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값 영역의 특정 항목을 마우스로 더블클릭하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세부적인 데이터가 새로운 시트에 만들어진다. 작업 후에는 행을 열로 또는 열을 행으로 이동하여 원본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요약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데이터 그룹 수준을 확장하거나 축소해서 요약 정보만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피벗 테이블을 만들때 피벗 차트도 같이 만들 수 있는데 만약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를 작성한 후에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면 피벗 차트는 일반 차트로 변경이 된다. .. 2023. 4. 24.
INDEX 함수 이번 시간에는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INDEX 함수와 그 이외의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INDEX 함수 =INDEX(array, row_num, [column_num]) 형식을 사용하는 INDEX함수는 array 범위 중에서 몇행, 몇열의 값이 얼마인지를 구하는 함수이다. 위의 그림에서 =INDEX(A2:D5, 3, 1)은 [A2:D5] 영역 중에서 3행 1열에 있는 값을 구하는 함수로 "이천수"가 결과로 나오고 =INDEX(A2:D5, 2, 3)은 2행 3열의 값을 구하는 함수로 "90"이 결과로 나온다. 1. 다음 중 아래의 워크시트를 참조하여 작성한 수식 ‘=INDEX(B2:D9,2,3)’의 결과는? 가) 19,500 나) 23,200,000 다) 1,000 라) .. 2023. 4.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