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콘크리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콘크리트
가) 시멘트와 물, 모래 그리고 강도를 위한 골재 및 혼화재료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굳힌 혼합물
※ 시멘트에 물을 섞은 것을 시멘트 페이스트라고 하고, 시멘트 페이스트에 모래를 섞은 것을 모르타르라고 하며, 모르타르에 골재(자갈)을 섞은 것을 콘크리트라고 한다.
나) 구조체를 만들 경우 철근을 넣어 강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와 비교해서 철근을 넣지 않는 콘크리트를 플레인 콘크리트라고 칭함
다) 콘크리트의 강도 중 가장 큰 것은 압축강도(콘크리트의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물-시멘트 비율)
라) 골재(자갈)의 표면은 거칠고, 모양은 원형에 가까운 것이 좋음
마) 골재는 잔 것과 굵은 것이 고루 혼합된 것이 좋고, 골재의 강도는 경화된 시멘트 풀의 최대 강도 이상이어야 함
바) 골재는 유해량 이상의 염분을 포함하지 않음
사) 콘크리트 강도는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째의 압축 강도를 뜻함
아)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 100mm
자) 크리프 :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하중을 지속적으로 작용시켜 놓을 경우 하중의 증가가 없음에도 지속하중에 의해 시간과 더불이 변형이 증대되는 현상
차) 블리딩 : 콘크리트 타설 후 비중이 무거운 시멘트와 골재 등이 침하되면서 물이 분리, 상승하여 미세한 부유물질과 콘크리트 표면으로 떠오르는 현상
카) 레이턴스 : 콘크리트를 친 후 블리딩 형상에 따라 미세한 물질이 부상하여 콘크리트가 경화한 뒤, 표면에 형성되는 흰빛의 얇은 막
타) AE제는 콘크리트 시공을 할 때 콘크리트 속에 있는 작은 공기 거품을 고르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혼화재로, 내동결융해성, 내식성(부식에 저항하는 성질), 내구성(기능 유지가 지속되는 성질)을 개선한다.

1. 콘크리트의 각종 강도 중 가장 큰 것은?
가) 압축강도
나) 인장강도
다) 휨강도
라) 전단강도
콘크리트의 강도 중 가장 큰 것은 압축강도
답은 가)
2. 콘크리트의 강도 중에서 가장 큰 것은?
가) 인장 강도
나) 전단 강도
다) 흼 강도
라) 압축 강도
콘크리트의 강도 중 가장 큰 것은 압축강도
답은 라)
3. 콘크리트의 강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가) 물-시멘트비가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나) 압축강도는 전단강도의 1/10 ~ 1/15 정도로 작다.
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강도는 인장강도를 말한다.
라) 시멘트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콘크리트의 전단강도는 압축강도의 1/9-1/13로 압축강도가 강함
콘크리트의 강도 중 가장 큰 것은 압축강도
답은 가)
4.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골재의 강도는 경화된 시멘트 풀의 최대 강도 이하이어야 한다.
나) 골재의 표면은 거칠고, 모양은 원형에 가까운 것이 좋다.
다) 골재는 잔 것과 굵은 것이 고루 혼합된 것이 좋다.
라) 골재는 유해량 이상의 염분을 포함하지 않는 다.
골재의 강도는 경화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최대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답은 가)
5. 현장치기 콘크리트 중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
가) 60㎜
나) 80㎜
다) 100㎜
라) 12㎜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는의 최소 피복 두께는 100mm
답은 다)
6. 콘크리트, 모르타르 바탕에 아스팔트 방수층 또는 아스팔트 타일 붙이기 시공을 할 때의 초벌용 재료는?
가) 아스팔트 프라이머
나) 아스팔트 컴파운드
다) 블로운 아스팔트
라) 아스팔트 루핑
- 아스팔트 프라이머: 방수시공의 첫 번째 공정에 쓰이는 바탕처리재(초벌도료). 솔, 롤러 등으로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블론 아스팔트를 휘발성 용제에 희석한 흑갈색의 저점도 액체이며, 콘크리트, 모르타르 바탕에 아스팔트 방수층 또는 아스팔트 타일 붙이기 시공을 할 때 사용되며 방수성이 좋고 접착성이 큼.
- 아스팔트 컴파운드: 블론 아스팔트 등에 동.식물성 유지나 광물질 등을 혼합한 것. 방수재료, 아스팔트 방수공사에 사용됨.
- 블로운 아스팔트(=블론 아스팔트): 원유에서 경유 등 만을 뽑아내어 기타 여러 가지를 조합하여 연화점이 높고 침입도 신율 등을 조절한 것. 열에 대한 안정성, 내후성이 큼. 지붕 방수, 아스팔트 표층,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료 등에 사용함.
- 아스팔트 루핑: 아스팔트 펠트의 양면에 아스팔트 컴파운드를 피복한 위에 활석분말 등을 부착시켜 롤러로 제품을 만든 것. 방수성, 방습성 우수. 온도가 오르면 더욱 유연해짐. 지붕에 기와 대신 사용함.
7. 다음 중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를 의미하는 것은?
가)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인장 강도
나)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압축 강도
다) 콘크리트 타설 후 7일 인장 강도
라) 콘크리트 타설 후 7일 압축 강도
콘크리트는 압력축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재령 28일 이후에는 더이상 증진되지 않는다고보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레미콘 배합설계를 하고 28일째엔 자신의 강도 이상으로 나오도록해야 한다.
답은 나)
8.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하중을 지속적으로 작용시켜 놓을 경우 하중의 증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속하중에 의해 시간과 더불어 변형이 증대하는 현상은?
가) 액상화
나) 블리딩
다) 레이턴스
라) 크리프
블리딩 : 재료분리 현상의 일종으로 아직 굳지않은 시멘트풀,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있어서 물이 윗면에 솟아오르는 현상(침강균열의 원인)
레이턴스 : 블리딩 수의 증발에 따라 콘크리트면에 침전된 백색의 미세한 물질
답은 라)
9. 콘크리트 타설 후 비중이 무거운 시멘트와 골재 등이 침하되면서 물이 분리·상승하여 미세한 부유물질과 콘크리트 표면으로 떠오르는 현상은?
가) 레이턴스(laitance)
나) 초기 균열
다) 블리딩(bleeding)
라) 크리프
블리딩 : 재료분리 현상의 일종으로 아직 굳지않은 시멘트풀,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있어서 물이 윗면에 솟아오르는 현상
레이턴스 : 블리딩 수의 증발에 따라 콘크리트면에 침전된 백색의 미세한 물질
답은 다)
10. 기성콘크리트 말뚝을 다설할 때 말뚝직경(D)에 대한 말뚝중심간 거리 기준으로 옳은 것은?
가) 1.5D 이상
나) 2.0D 이상
다) 2.5D 이상
라) 3.0D 이상
2018년 기준
2.5d 또는 750mm
답은 다)
11. 생석회와 규사를 혼합하여 고온, 고압하에 양생하면 수열반응을 일으키는데 여기에 기포제를 넣어 경량화한 기포콘크리트는?
가) A.L.C제품
나) 흉관
다) 드리졸
라) 플렉시블보오드
답은 가)
12. 공사현장 등의 사용장소에서 필요에 따라 만드는 콘크리트가 아니고, 주문에 의해 공장생산 또는 믹싱카로 제조하여 사용현장에 공급하는 콘크리트는?
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다) 한중 콘크리트
라) AE 콘크리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줄여서 레미콘이라고도 한다.
답은 가)
13. 시멘트 혼화제인 AE제를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가) 동결 융해 작용에 대하여 내구성을 가지기 위해
나) 압축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에 색깔을 내기 위해
라)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방수성능을 위해
AE제: 콘크리트용 표면활성제로 콘크리트 속에 독립된 미세한 기포를 생성, 골고루 분포시킨다. 기포가 시멘트 및 골재의 미립자를 떠오르게 하거나 물의 이동을 도움으로써 블리딩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가지게 한다.
답은 가)
14. AE제를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가)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하기 위해서
나) 동결융해작용에 대하여 내구성을 가지기 위해서
다) 블리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라) 염류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을 크게 하기 위해서
AE제: 콘크리트용 표면활성제로 콘크리트 속에 독립된 미세한 기포를 생성, 골고루 분포시킨다. 기포가 시멘트 및 골재의 미립자를 떠오르게 하거나 물의 이동을 도움으로써 블리딩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가지게 한다.
답은 나)
15.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물-시멘트가 일정한 경우 공기량을 증가시키면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나) 시공연도가 좋아지므로 재료분리가 적어진다.
다) 동결융해작용에 의한 마모에 대하여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라) 철근에 대한 부착강도가 감소한다.
물-시멘트가 일정한 경우 공기량을 증가시키면 압축강도는 저하된다.
답은 가)

'필기 자료실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구조의 특징과 형강 (0) | 2023.03.06 |
---|---|
철근콘크리트구조 (0) | 2023.03.03 |
시멘트의 보관과 종류 (0) | 2023.02.24 |
건축물 구조형식과 시공과정에 따른 분류 (0) | 2023.02.24 |
벽돌 내쌓기와 개구부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