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철근콘크리트구조
가)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고, 철근은 인장력에 강하며 인장력에 비해 압축력에 대한 저항능력이 더 크다.
나) 콘크리트는 약알카리성으로 산성인 철근의 부식을 방지한다.
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가 거의 같아 입체화에 유리하다.
라) 콘크리트가 철근을 피복하므로 철근구조에 비해 내화성, 내구력이 증대된다.
마)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철근의 역할
주근 : 기둥을 보강하는 세로철근, 즉 축방향철근
띠철근(=대근) : 기둥에 사용하며 전단력과 주근의 좌굴, 콘크리트가 터져 나가는 것을 방지
늑근 : 보에 사용하는 전단력 보강을 위해 사용하는 스트럽으로 중앙부보다 단부(옥상, 옹벽, 통로 등의 끝과 같이 단차가 있는 부분)에 촘촘하게 배치하는 것이 원칙
온도철근 : 온도변화와 콘크리트 수축에 균열을 줄이기 위해 배근하는 보강철근
배력철근 :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보조철근
후크 : 철근의 정착을 위해 사용
바) 주근의 최소개수는 사각형이나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4개,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는 6개로 해야 한다.
사) 띠철근의 수직간격 –지름 6mm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간격은 주근 지름의 16배 이하, 띠철근지름의 48배 이하, 기둥의 최소치수 이하, 30cm 이하 중 가장 작은 값을 선택
아) 철근콘크리트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최소 100mm이고, 슬래브의 철근은 장변방향보다 단변방향에 많이 넣어야 한다.
자)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최소피복두께는 철근의 부식방지, 철근의 내화성 강화, 철근의 부착력 증가를 위함이다.
차) 철근콘크리트구조는 균질한 시공이 어렵다.
카) 철근은 인장력이 취약한 부분에 배근을 하고, 철근을 합산한 총단면적이 같을 때는 가는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부착력 향상에 좋다.
타) 철근의 이음은 인장력이 작은 곳에서 하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부착강도는 비례한다.
파) 보 단부(양쪽 끝부분)의 헌치(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부재의 두께나 높이가 변화하는 부분에는 응력의 집중에 의해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접하는 부위에 보강을 위해 구조물의 단면을 크게 한 부분)는 전단력을 견디게 하기 위해 만든다.
하) 동바리 – 거푸집을 받치는 가설재
턴버클 – 지지막대나 지지와이어로프 등의 길이 조절을 위한 기구
세퍼레이터 – 철근 간의 간격이나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받침
스페이퍼 –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받침
1.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역학적으로 인장력에 주로 저항하는 부분은 콘크리트이다.
나) 콘크리트가 철근을 피복하므로 철근구조에 비해 내화성이 우수하다.
다) 콘크리트와 철근의 선팽창계수가 거의 같아 입체화에 유리하다.
라) 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이므로 철근의 부식을 막는 기능을 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고, 철근은 인장력에 강하다.
답은 가)
2. 철근 콘크리트구조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내구ㆍ내화ㆍ내풍적이다.
나) 목구조에 비해 자체중량이 크다.
다) 압축력에 비해 인장력에 대한 저항능력이 뛰어나다.
라) 시공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고, 철근은 인장력에 강하며, 인장력에 비해 압축력에 대한 저항능력이 더 크다.
답은 다)
3.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콘크리트와 철근이 강력히 부착되면 철근의 좌굴이 방지된다.
나)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므로 부재의 압축력을 부담한다.
다) 콘크리트와 철근의 선팽창 계수는 약 10배의 차이가 있어 응력의 흐름이 원활하다.
라) 콘크리트는 내구성과 내화성이 있어 철근을 피복·보호한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는 거의 같아서 입체화에 유리하다.
답은 다)
4.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주근 주위를 수평으로 둘러 감은 철근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띠철근
나) 배력근
다) 수축철근
라) 온도철근
기둥을 보강하는 세로철근을 주근이라고 하고, 주근 주위를 둘러 감아 전단력과 주근의 좌굴, 콘크리트가 터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철근은 띠철근이다.
답은 가)
5.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각 철근의 주된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띠철근 : 휨모멘트에 저항
나) 온도철근 : 균열방지
다) 후크 : 철근의 정착
라) 늑근 : 전단보강
기둥을 보강하는 세로철근을 주근이라고 하고, 주근 주위를 둘러 감아 전단력과 주근의 좌굴, 콘크리트가 터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철근은 띠철근이다.
답은 가)
6. 사각형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띠철근을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가) 주근의 좌굴을 막기 위하여
나) 주근 단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다)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라) 콘크리트의 수축 변형을 막기 위하여
띠철근은 주근의 좌굴 방지와 전단력 보강 및 콘크리트가 터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답은 가)
7. 철근콘크리트 보에 늑근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가) 보의 전단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나)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 보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라) 보의 휨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늑근과 띠근은 전단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데 늑근은 보에, 띠근에 기둥에 사용한다.
답은 가)
8. 철근콘크리트 단순보의 철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인장력에 저항하는 재축방향의 철근을 보의 주근이라 한다.
나)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한 보를 복근보라 한다.
다) 전단력을 보강하여 보의 주근 주위에 둘러서 감은 철근을 늑근이라 한다.
라) 늑근은 단부보다 중앙부에서 촘촘하게 배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늑근은 보에 전단력 보강을 위해 사용하며, 중앙부보다는 단부에 촘촘하게 배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답은 라)
9. 온도조절철근(배력근)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균열방지
나) 응력의 분산
다) 주철근 간격유지
라) 주근의 좌굴방지
주근의 좌굴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철근은 띠근이다.
답은 라)
10.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배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기둥을 보강하는 세로철근, 즉 축방향철근이 주근이 된다.
나) 나선철근은 주근의 좌굴과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터져나가는 것을 구속한다.
다) 주근의 최소개수는 사각형이나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6개,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철근의 경우 4개로 하여야 한다.
라) 비합성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 단면적은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8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주근의 최소개수는 사각형이나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4개,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는 6개로 해야한다.
답은 다)
11. 철근콘크리트 사각형 기둥에는 주근을 최소 몇 개 이상 배근해야 하는가?
가) 2개
나) 4개
다) 6개
라) 8개
주근의 최소개수는 사각형이나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4개,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는 6개로 해야한다.
답은 나)
12. 철근콘크리트기둥에서 띠철근의 수직간격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 기둥 단면의 최소 치수 이하
나) 종방향 철근지름의 16 배 이하
다) 띠철근 지름의 48 배 이하
라) 기둥 높이의 0.1 배 이하
띠철근의 수직간격 –지름 6mm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간격은 주근 지름의 16배 이하, 띠철근지름의 48배 이하, 기둥의 최소치수 이하, 30cm이하 중 가장 작은 값을 선택
답은 라)
13.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철근 배근 시 띠철근의 수직 간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단, 기둥 단면 400 × 400mm, 주근지름 13mm, 띠철근지름 10mm임)
가) 200mm
나) 250mm
다) 400mm
라) 480mm
띠철근의 수직간격 –지름 6mm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간격은 주근 지름의 16배 이하, 띠철근지름의 48배 이하, 기둥의 최소치수 이하, 30cm이하 중 가장 작은 값을 선택
주근지름의 16배 = 13 X 16 = 208
띠철근 지름의 48배 = 10 X 48 = 480
가장 작은 값은 208
답은 가)
14.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배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기둥 하부의 주근은 기초판에 크게 구부려 깊이 정착한다.
나)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한 보를 복근보라고 한다.
다) 단순보의 주근은 중앙부에서는 하부에 많이 넣어야 한다.
라) 슬래브의 철근은 단변방향보다 장변방향에 많이 넣어야 한다.
슬래브의 철근은 장변방향보다 단변방향에 많이 넣어야한다.
답은 라)
15.철근콘크리트구조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부재의 크기와 형상을 자유자재로 제작할 수 있다.
나) 내화성이 우수하다.
다) 작업방법, 기후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균질한 시공이 가능하다.
라) 철골조에 비해 내식성이 뛰어나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균질한 시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답은 다)
16. 철근콘크리트구조에 사용되는 철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인장력에 취약한 부분에 철근을 배근한다.
나) 철근의 합산한 총 단면적이 같을 때 가는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부착력 향상에 좋다.
다) 철근의 이음길이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와는 무관하다.
라) 철근의 이음은 인장력이 작은 곳에서 한다.
철근의 이음은 인장력이 작은 곳에서 하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부착강도는 비례한다.
답은 다)
17. 염분이 섞인 모래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에서 가장 염려되는 현상은?
가) 건조수축 발생
나) 철근 부식
다) 슬럼프 저하
라) 초기강도 저하
금속인 철근은 염분에 의해 부식이 된다.
답은 나)
18.철근콘크리트보의 형태에 따른 철근배근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단순보의 하부에는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하부에 주근을 배치한다.
나) 연속보에서는 지지점 부분의 하부에서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이곳에 주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다) 내민보는 상부에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상부에 주근을 배치한다.
라) 단순보에서 부재의 축에 직각인 스터럽의 간격은 단부로 갈수록 촘촘하게 한다.
연속보는 지지점 상부에서 인장력이 발생하므로 상부에 주근을 배근한다
답은 나)
19. 철근콘크리트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가) 80㎜
나) 90㎜
다) 100㎜
라) 120㎜
1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 규정이 변경되어 최소 10cm이상 이므로 100mm가 답이 됩니다.
답은 다)
20.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최소피복두께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철근의 부식방지
나) 철근의 연성감소
다) 철근의 내화
라) 철근의 부착
철근의 최소피복두께는 철근의 부식 방지와 철근의 내화성 강화, 철근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답은 나)
21. 철근콘크리트 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단순보는 중앙에 연직 하중을 받으면 휨모멘트와 전단력이 생긴다.
나) T형보는 압축력을 슬래브가 일부 부담한다.
다) 보 단부의 헌치는 주로 압축력을 보강하기 위해 만든다.
라) 캔틸레버 보에는 통상적으로 단면 상부에 철근을 배근한다.
보의 단부(양쪽 끝부분)의 헌치는 전단력에 견디게 한다.
답은 다)
22.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을 받치는 가설재를 무엇이라 하는가?
가) 턴버클
나) 동바리
다) 세페레이터
라) 스페이서
턴버클 - 지지막대나 지지와이어 로프 등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구, 철골 구조나 목조의 현장 조립 등에서 다시 세우기나 철근 가새등에 사용한다.
동바리 - 거푸집의 일부로 정해진 형상과 치수의 콘크리이트가 되도록 거푸집판을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지주
세퍼레이터 -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철근간의 간격이나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받침 또는 부품
스페이서 - 처근 콘크리트의 기둥. 보 등의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받침. 모르타르제 풀라스틱제의 것 등이 있다.
답은 나)
'필기 자료실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골구조 (0) | 2023.03.07 |
---|---|
강구조의 특징과 형강 (0) | 2023.03.06 |
콘크리트 (0) | 2023.02.27 |
시멘트의 보관과 종류 (0) | 2023.02.24 |
건축물 구조형식과 시공과정에 따른 분류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