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 자료실/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건축물 구조형식과 시공과정에 따른 분류

by 자준모 2023. 2.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건축물의 구조형식과 시공과정에 따른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구조형식에 따른 분류

1. 조적식 구조

    가) 벽돌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모르타르로 접착하여 쌓는 구조로 소규모 건물에 주로 쓰임.

          ※ 모르타르 : , 시멘트, 모래, 석회를 섞어서 물에 갠 것

    나) 횡력(지진)에 약하며, 고층, 대형 건물에는 부적당함.

    다) 벽돌구조, 돌구조, 블록구조 등이 있음.

    라) 개구부 설치에 가장 많은 제약을 받는다.

    마) 조직식구조에서 벽체의 상부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구조 전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테두리보를 설치한다.

2. 가구식 구조

    가) 목재나 철재 등 가늘고 긴 재료를 조립해서 만드는 구조

    나) 각 부재의 접합 및 짜임새에 따라 전체 구조체의 강도가 결정됨.

    다) 뼈대를 삼각형으로 짜 맞추면 안정한 구조체를 만들 수 있음.

    라) 목구조, 철골구조(용접은 일체식 구조로 봄) 등이 있음

3. 일체식 구조

    가) 기초에서 지붕에 이르기까지 건물 전체의 주체 구조를 한 몸으로 구성하는 구조

    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콘크리트 구조와 같이 거푸집을 만들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흘려 넣어서 만든 구조

    다) 자유로운 형태로 만들 수는 있으나 균일한 시공은 어려움

   

2. 시공과정에 따른 분류

1. 건식구조

    가) 각종 기성재료를 짜 맞추는 방법

    나) 물을 사용하지 않는 공법으로 공사기간이 짧아짐

    다)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겨울에도 시공이 가능

    라) 목구조, 철골구조 등이 있음.

2.  습식 구조

    가) 건축재료에 물을 사용하여 축조하는 방법

    나) 물을 건조시켜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다.

    다) 바름벽, 콘크리트 등을 쓰는 구조

    라) 벽돌구조, 돌구조, 블록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등이 있다.

3. 조립식 구조

    가) 건물의 주요 뼈대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

    나) 규격화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

    다) 정밀도가 높음

    라) 각 부품과의 접합부가 일체화되기가 어려움

   

 

기출문제

1. 조적식 구조로만 짝지어진 것은?

    ) 철근콘크리트구조 - 벽돌구조

    ) 철골구조 - 목구조

    벽돌구조 - 블록구조

    )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돌구조

 

조적식 구조: 벽돌구조, 블록구조, 돌구조 등이 있다.

답은 다)

 

2. 다음 중 개구부 설치에 가장 많은 제약을 받는 구조는?

    벽돌구조

    나) 철근콘크리트구조

    ) 철골구조

    라) 목구조

 

조적식 구조는 횡력에 약하고, 개구부 설치에 가장 많은 제약을 받는다.

답은 가)

3. 조적구조에서 테두리보의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 벽체를 일체화하여 벽체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벽체 폭을 크게 줄일 수 있다.

    ) 기초의 부동침하나 지진발생 시 지반반력의 국부집중에 따른 벽의 직접피해를 완화시킨다.

    ) 수직 균열을 방지하고, 수축 균열 발생을 최소화한다.

 

조적구조의 테두리보는 벽체의 상부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구조 전체의 강성을 높인다.

답은 나)

 

4. 블록구조에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 횡력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균열의 발생을 막기 위해

   ) 세로철근의 정착을 생략하기 위해

   ) 하중을 균등히 분포시키기 위해

   ) 집중하중을 받는 블록의 보강을 위해

 

블록구조에 테두리보는 세로철근을 정착하여 구조를 보강할수있다.

답은 나)

 

5. 건축구조의 구성방식에 의한 분류 중 하나로 구조체인 기둥과 보를 부재의 접합에 의해서 축조하는 방법으로 뼈대를 삼각형으로 짜 맞추면 안정한 구조체를 만들 수 있는 구조는?

    가구식 구조

    나) 캔틸레버 구조

    ) 조적식 구조

    라) 습식 구조

 

구조체인 기둥과 보를 부재의 접합에 의하여 축조하는 구조는 가구식 구조이다.

답은 가)

 

6. 가구식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개개의 재료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쌓아 만든 구조

    ) 목재, 강재 등 가늘고 긴 부재를 접합하여 뼈대를 만드는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와 같이 전 구조체가 일체가 되도록 한 구조

    ) 물을 사용하는 공정을 가진 구조

 

)는 조적식구조, )는 일체식 구조, )는 습식 구조에 관한 설명이다.

답은 나)

 

7. 건축구조의 구성방식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가구식 구조

    나) 일체식 구조

    습식 구조

    라) 조적식 구조

 

구조 형식에 따라서 가구식, 조적식, 일체식으로 분류할 수 있고, 공법에 따라 습식, 건식, 조립식 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답은 다)

 

8. 건물의 주요 뼈대를 공장제작한 후 현장에 운반하여 짜맞춘 구조는?

    ) 조적식 구조

    나) 습식 구조

    ) 일체식 구조

    라) 조립식 구조

 

자재를 공장에서 제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는 조립식 구조이다

답은 라)

 

9. 선 공장 제작하여 현장에서 짜맞춘 구조이며, 규격화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구조체의 구성양식은?

    ) 조립식 구조

    나) 습식 구조

    ) 조적식 구조

    라) 일체식 구조

 

먼저 공장에서 자재를 제작하여 현장에서 짜맞춘 구조는 조립식 구조이다.

답은 가)

 

10. 조립식구조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 각 부품과의 접합부가 일체화되기가 어렵다.

    ) 정밀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 공장생산이 가능하다.

    ) 기계화시공으로 단기완성이 가능하다.

 

조립식 구조는 정밀도가 높다

답은 나)

 

 

 

건축물 분류 타이틀

반응형

'필기 자료실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0) 2023.02.27
시멘트의 보관과 종류  (0) 2023.02.24
벽돌 내쌓기와 개구부  (0) 2023.02.22
벽돌의 규격과 쌓기  (0) 2023.02.20
한국산업표준의 분류 및 척도  (0) 2023.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