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준모21 핀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핀의 용도 및 핀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핀의 용도 및 종류 1. 핀의 용도 가) 핀은 2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하는데 주로 사용하며, 나사 및 너트의 이완 방지, 핸들을 축에 고정하거나 힘이 적게 걸리는 부품을 설치할 때, 분해 조립할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때 주로 사용한다. 2. 핀의 종류 가) 평행 핀 : 끝면의 모양에 따라 A형(모따기)와 B형(평형)이 있으며, 위치 결정이나 막대의 연결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나) 테이퍼핀 : 테이퍼를 가지고 있는 핀으로 호칭은 작은 부분의 지름으로 한다. 다) 분할핀 : 한쪽 끝이 두 가닥으로 갈라진 핀으로, 나사 및 너트의 이완을 방지하거나 축에 끼워진 부품이 빠지는 것을 막고, 핀을.. 2023. 2. 12. 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축의 제도와 센터구멍 1. 축의 정의 가) 동력을 전달하거나 작용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기계요소로 축을 설계할 때는 강도, 부식, 변형 3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2. 축의 제도 가) 축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표시하지 않는다. 나) 필요에 따라 부분 단면은 가능하다. 다) 긴 축은 단축하여(중간을 파단하여) 그릴 수 있으나 길이는 실제 길이를 기입한다. 라) 빗줄 널링 의 경우 축선에 대하여 30º로 엇갈리게 그린다. 마) 모떼기는 길이 치수와 각도로 나타낼 수 있다. 바) 45º 모떼기의 경우 C로 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사) 구석 라운드 가공부는 필요에 따라 확대하여 기입.. 2023. 2. 11. 스프링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스프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스프링의 제도와 스프링 상수 1. 스프링의 제도 가) 스프링은 무하중 상태에서 도시하고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그린 경우에는 치수를 기입할 때, 그 때의 하중을 기입 나) 특별한 단서가 없으면 오른쪽으로 감긴 것을 의미하고 왼쪽으로 감긴 것은 ‘감긴 방향 왼쪽’이라고 표시해 줘야 함 다) 코일스프링의 중간일부를 생략 시 가는 1점 쇄선 또는 가는 2점 쇄선을 표시 라) 스프링 종류 및 모양만을 간략히 그릴 때는 중심선을 굵은 실선으로 표시 마) 그림 안에 기입하기 힘든 사항은 일괄하여 요목표에 기입 바) 하중과 높이 및 처짐과의 관계는 선도 또는 요목표에 나타냄 2. 스프링 지수와 스프링 상수 3. 스프링.. 2023. 2. 10. 베어링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베어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베어링 1. 베어링의 정의 및 구성 가) 축이 회전 운동을 할 때 마찰 저항을 작게 하여 운동을 원활하게 해 주는 축을 받쳐 주는 기계요소. 나) 저널 : 베어링과 접촉하고 있는 축 부분 다) 리테이너 : 볼 베어링이나 롤러 베어링에서 볼이나 롤이 언제나 같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끼워져있는 부품 2. 베어링의 종류 가) 미끄럼베어링 : 베어링이 저널부의 표면 또는 표면의 일부를 둘러싼 것 같이 되어 있으며, 베어링과 저널의 접촉면 사이에 보통 윤활유가 있다. 축이 회전할 때 마찰저항이 구름베어링보다 크지만 하중을 지지하는 능력이 크다. 나) 구름베어링 : 축과 베어링의 볼 또는 롤러가 접촉하여 축이 회전하.. 2023. 2. 9.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