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기자료실/CAD

캐드 중심점 모를 때 원 그리기 예제

by 자준모 2023. 7. 2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캐드에서 중심점을 모르는 원을 그리는 방법을 예제를 통해서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심점을 모를 때 원을 그리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는데 막연한 3점을 알 때 사용하는 3P, 지름에 해당하는 2점을 알 때 사용하는 2P, 접하는 두 선과 반지름을 알 때 사용하는 t, 접하는 세 선을 알 때 사용하는 접선, 접선, 접선 방식입니다.

 

캐드 중심점 모를 때 원 그리기 예제

원 예제2

  캐드에서는 대부분 도면 작업을 할 때 외형을 먼저 그린 후 내부 작업을 진행을 합니다. 여기서는 외형 부분에 있는 직선을 먼저 그린 후에 내부에 있는 원을 그려줍니다. 이번 도면은 첫 번째 점은 오른쪽 위에 있는 18선 아래점에서 시작해서 그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l(Line) [Enter]를 하고 첫 번째 점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마우스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18 [Enter], 왼쪽을 향한 상태에서 150 [Enter],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100 [Enter], 오른쪽을 향한 상태에서 150 [Enter], 위를 향한 상태에서 18 [Enter], <170 [Enter]하고 선을 길게 그려줍니다. o(Offset)을 이용하여 오른쪽으로 30만큼 간격 복사를 하고 방금 그렸던 대각선과 30만큼 간격복사한 선을 tr(TRim)으로 정리해 줍니다. 그리고 l(Line) [Enter]하고 처음 시작점을 클릭하고 <-170 [Enter]해서 선을 길게 그려 준 다음 30만큼 간격복사한 선과 tr(TRim)으로 정리를 해 줍니다.

  o(Offset) 명령어로 왼쪽 수직선을 오른쪽으로 20만큼 간격복사를 한 다음 간격복사한 선의 중간점에 반지름이 10인 원을 그려줍니다. 반지름이 10인 원의 위, 아래에 있는 원은 지름이 40인 원이고 지름에 해당하는 2점을 알기 때문에 c(Circle) [Enter]하고 2p기능을 이용해서 원을 그려도 되고 접하는 2개의 선과 접하는 원을 알고 있고 반지름이 20이라는 것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t(접선, 접선, 반지름)을 이용해서 그려도 됩니다. 그 옆에 있는 4개의 원은 반지름도 모르고 중심점도 모르는데 만나는 세 선을 알고 있으므로 그리기의 접선, 접선, 접선을 이용해서 그리면 됩니다. 만약 접선, 접선, 접선을 모른다면 c(Circle) [Enter] 하고 3p라고 입력을 하고 접선을 클릭해야 하는데 원의 3p기능에서는 접선이라는 osnap이 뜨지 않습니다. 이때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면 캐드에서는 osnap 바로가기 메뉴가 뜨는데 여기서 접점을 선택하면 다른 osnap은 뜨지를 않고 접선 osnap만 뜹니다. 이때 접하는 선을 선택하면 됩니다. 같은 요령으로 나머지 두 곳도 [Shift]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해서 바로가기 메뉴에서 접점을 선택하고 접하는 선을 선택하면 3p를 이용해서 접하는 원을 그릴 수도 있습니다. 나머지 원들도 같은 요령으로 그려주시면 됩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직선에 대한 치수들이 나와 있고 그 직선과의 교점이나 접선을 이용한 원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직선을 먼저 그려줍니다. 왼쪽 하단 모서리에서 선을 그린다고 하면 l(Line) [Enter]하고 첫 번째 점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오른쪽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100 [Enter]하고 위로 향한 상태에서 100 [Enter] 왼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100 [Enter]한 다음 c(Close)로 닫아 줍니다. 방금 그린 네 개의 선을 o(Offset) 명령어를 이용해서 20만큼 안쪽으로 간격복사를 한 다음 tr(TRim) 명령어로 선을 잘라줍니다. 중앙에 있는 사각형의 중간점 osnap을 이용해서 수평 수직선을 그려줍니다. 가장 큰 원의 중심은 중앙에 있는 사각형의 중간에 그린 수평, 수직선의 교점이므로 c(Circle) [Enter]하고 중심점은 중앙에 있는 사각형의 중간에 그린 수평, 수직선의 교점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처음 그린 가로 세로 100인 사각형의 모서리 중 한 점을 클릭하면 가장 큰 원을 그릴 수 있습니다. 가로, 세로 20인 정사각형에 외접하는 사각형은 원의 3점을 알고 있으므로 c(Circle) [Enter]하고 3p [Enter]한 다음 사각형의 3점을 마우스로 클릭해서 그려주면 됩니다. 중앙에 있는 사각형 안에 있는 5개의 원에 표시된 5-R3은 반지름이 3인 원이 5개 있다는 의미입니다. 먼저 중앙에 있는 반지름 3인 원은 중심점의 위치를 알기 때문에 c(Circle) [Enter]하고 중앙에 있는 수직, 수평선의 교점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3이라고 입력하고 [Enter]를 하면 그릴 수 있고 나머지 네 개의 원은 접하는 두 선과 반지름을 알고 있기 때문에 c(Circle)이라고 입력을 하고 [Enter] t(접선 접선 반지름) [Enter]하고 접하는 두 선을 마우스로 클릭한 다음 같은 반지름인 원을 그리려고 하기 때문에 반지름은 입력하지 말고 [Enter]를 눌러 줍니다. 가장 큰 원과 접하는 8개의 원도 접하는 두 선과 반지름을 알기 때문에 c(Circle) [Enter] t(접선 접선 반지름) [Enter]하고 접하는 두 선을 마우스로 클릭한 다음 5라고 입력하고 [Enter]를 눌러줍니다. 나머지 7개의 원을 그릴 때도 같은 요령으로 그려주는데 반지름이 같은 원을 그리려고 하니 반지름은 입력하지 말고 [Enter]를 눌러주면 됩니다.

 

정리

이번 시간에는 중심점을 모르는 원을 그리는 방법에 대한 예제를 그려봤습니다. 원을 그릴 때 반지름을 모르는데 3개의 점을 알면 3P, 지름에 해당하는 2점을 알면 2P, 접하는 두 선과 반지름을 안다면 t기능을 쓰면 되고 만약 접선 osnap이 필요한데 접선 osnap이 안 뜬다면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해서 뜨는 바로가기 메뉴에서 접점 osnap을 선택해서 도면 작업을 하면 됩니다.

 

 

캐드 중심점 모를 때 원 그리는 예제 타이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