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기자료실/실무 문서12 엑셀에서 텍스트로 입력되어 숫자 계산이 안 될 때 엑셀에서 숫자를 더하려는데 계산이 안 될 때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그중 오늘은 숫자가 텍스트로 입력이 되어서 계산이 안 되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숫자가 텍스트로 입력이 되어 있으면 셀의 왼쪽 상단에 초록색 삼각형이 생깁니다. 이런 숫자는 +, -, *, / 와 같은 사칙연산은 되지만 SUM과 같은 함수 계산이 되지 않습니다. 심지어 =SUM(A1:A4)와 같이 선택을 하고 [Enter]를 누르면 계산이 되지는 않고 입력한 수식이 그대로 표시됩니다. 이렇게 텍스트로 입력된 자료는 셀 서식을 이용해서 숫자로 바꿔도 바뀌지 않습니다. 이럴 때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텍스트로 입력된 숫자를 숫자로 바꾸기 텍스트로 입력된 숫자를 선택한 후 [.. 2024. 3. 25. 한글 입력하는데 글이 자꾸 사라져요 한글 프로그램을 사용하던 중 글을 입력하면 이전에 있던 글이 지워지면서 지금 적고 있는 글이 적어질 때가 있습니다. 이건 입력모드가 삽입이 아닌 수정 모드가 되면 그렇습니다. 일반적으로 한글을 작성할 때는 삽입으로 해 놓고 작성을 합니다. 한글 화면의 아래쪽에 있는 상태표시줄을 보면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1. 한글 입력하는데 글이 자꾸 사라져요 한글에서 글을 입력하는데 원래 적혀 있던 글자가 없어지면서 지금 입력하는 글자가 입력이 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상태표시줄을 보면 [삽입]이 아닌 [수정]으로 바뀌어져 있을 겁니다. 키보드의 [Insert] 키를 누르면 한글의 [삽입]과 [수정] 두 가지 기능으로 바뀌어지는데 아마도 키보드의 [Insert] 키를 눌렀을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입력된 .. 2024. 3. 19. 엑셀 셀의 빈자리를 특정 문자로 메꾸기 이번 시간에는 엑셀에서 빈 자리를 특정 문자로 메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의 셀 서식에서 숫자를 표현할 때 천단위마다 콤마 표시를 안 하고 싶을 때는 0을, 천단위마다 콤마 표시를 하고 싶을 때는 #,##0을 사용하고 그 앞이나 뒤에 표현하고 싶은 문자를 " "사이에 입력을 해 주면 됩니다. 입력된 내용이 문자인 경우는 문자 대신 @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리고 셀의 너비만큼 특정 문자로 채우고 싶을때는 *뒤에 채우고 싶은 문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1. 숫자에 천단위마다 콤마를 표시하고 빈 자리를 %로 메꾸기 위와 같은 자료가 있는데 위의 자료에 천단위마다 콤마를 표시를 하려면 [셀 서식] - [표시형식] 탭의 사용자지정에서 #,##0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숫자 앞에 셀너.. 2024. 3. 14. 엑셀 숫자를 한글 또는 한자로 표현하기 이번 시간에는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숫자를 한글이나 한자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사비처럼 큰 금액의 경우 0을 하나 덜 적거나 더 많이 적어서 공사비가 엄청 크게 책정이 되거나 엄청 작게 책정이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숫자를 한글이나 한자로 표현을 하는데 이때 숫자를 직접 한글이나 한자로 입력하지 않고 엑셀 프로그램의 셀 서식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 1. 숫자를 한글 또는 한자로 표현하기 아래와 같은 출장비 보고서 내역이 있습니다. 위의 표에서 내용 아래에 있는 빈칸에 출장비 금액이 한글로 표현이 되도록 하려고 합니다. 한글로 표현하려는 금액과 [D8] 셀에 있는 금액은 같은 금액이 표현이 되게 하고 싶습니다. 이때 [C8] 셀을 선택.. 2024. 2. 2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