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캐드 실기 3각법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제1각법과 제3각법은 앞서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제1각법은 제1면각에 제품을 두고 눈→제품→투상면으로 투상을 하는 방식이고, 제3각법은 제3면각에 제품을 두고 눈→투상면→제품으로 투상을 하는 방식입니다. 제1각법과 제3각법의 배열의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3각법을 이용해서 도면을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3각법
캐드실무능력평가(CAT) 2급 시험에서는 3각법으로 도면을 그리는 것이 출제가 됩니다. 문제의 유형은 제3각법 중에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3개의 그림을 1시간 30분 동안 모형공간에 작성하고 배치작업을 한 후, 프린터 설정까지 하는 방식으로 출제가 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내용은 위치 관계입니다. 우선 정면도와 평면도의 관계(정면도와 평면도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합니다.)에서는 정면도의 왼쪽 부분은 평면도의 왼쪽 부분이고, 정면도의 오른쪽 부분은 평면도의 오른쪽 부분입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실제로 도면을 그릴 때는 이 부분을 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정면도와 우측면도의 관계(정면도와 우측면도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합니다.)에서는 정면도의 위쪽 부분이 우측면도의 위쪽 부분이고, 정면도의 아래쪽 부분이 우측면도의 아래쪽 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평면도와 우측면도의 관계에서는 평면도의 아래쪽 부분이 우측면도의 왼쪽 부분이고, 평면도의 위쪽 부분이 우측면도의 오른쪽 부분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정면도의 위쪽 부분은 위에서 봤을 때는 보이는 부분일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니까 평면도 그림에서는 외형선으로 나타날 것이고 정면도의 아래 부분은 평면도에서 봤을 때는 보이지 않는 부분일 확률이 높아서 숨은선으로 나타날 것입니다. 우측면도와 정면도의 관계에서는 정면도의 오른쪽 부분은 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는 보이는 선 즉, 외형선으로 나타날 것이고, 정면도의 왼쪽 부분은 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는 보이지 않는 선으로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도면 작성할 때는 항상 치수가 많은 쪽을 먼저 작성을 합니다. 정면도에 치수가 많이 있다면 정면도를 먼저 작성하는 것이 좋고, 평면도에 치수가 많을 경우에는 평면도를 먼저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
이번 시간에는 캐드실무능력평가(CAT) 2급 시험에 출제되는 3각법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작업을 할 때 치수가 많은 투상면을 먼저 작업을 하고 정면도의 왼쪽은 평면도의 왼쪽, 정면도의 오른쪽은 평면도의 오른쪽, 정면도의 위쪽은 평면도에서 외형선, 정면도의 아래쪽은 평면도에서 숨은선으로 나타나고, 정면도의 위쪽은 우측면도의 위쪽, 정면도의 아래쪽은 우측면도의 아래쪽, 정면도의 오른쪽은 우측면도에서 외형선, 정면도의 왼쪽은 우측면도에서 숨은선으로 나타날 확률이 높으며, 우측면도의 왼쪽은 평면도의 아래쪽, 우측면도의 오른쪽은 평면도의 위쪽인 위치 관계를 잘 이해하면 어렵지 않게 도면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기자료실 > 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드 뷰큐브 안보이게 설정하는 방법 (0) | 2024.03.21 |
---|---|
오토캐드 정다각형(polygon)/타원(ellipse)/직사각형(rectang) (2) | 2023.08.01 |
오토캐드 배열복사 (1) | 2023.07.31 |
오토캐드 회전(rotate)와 대칭(mirror) 예제 (0) | 2023.07.30 |
오토캐드 회전(rotate)와 대칭복사(mirror) (0) | 202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