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 자료실/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트러스 구조와 철골보

by 자준모 2023. 3. 8.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트러스 구조와 철골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트러스 구조와 철골보

1. 트러스 구조

    가) 트러스 구조란 여러 개의 직선 부재를 삼각형 형태로 배열하여 각 절점에서 핀으로 연결시킨 구조

    나) 모든 방향에 대한 응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절점은 대부분 핀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 모든 절점이 핀으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다) 풍하중과 적설하중을 고려하여 구조계산을 한다.

    라) 부재중에는 응력을 거의 받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마) 구성부재를 규칙적인 3각형으로 배열하면 구조적으로 안정된다.

    바) 지점의 중심선과 트러스 절점의 중심선은 가능한 일치 시킨다..

    사) 상대적으로 얇고 길이가 짧은 부재를 상하 그리고 경사로 연결하여 장스팬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다.

    아) 비렌딜 트러스 : 상현재와 하현재 사이에 수직재로 구성되어 있다.

    자) 와렌 트러스 : 수직재 없는 트러스

    차) 플랫 트러스 : 상현재는 압축력, 하현재는 인장력을, 사재는 주로 인장력을 수직재는 압축력을 받는 구조로 철교 등에 적합하다.

    카) 하우 트러스 상현재는 압축력, 하현재는 인장력, 사재는 주로 압축력, 수직재는 인장력을 받는 구조로 목구조에 적합하다. 

트러스 구조

    타) 래티스 돔 : 트러스를 곡면으로 구성하여 돔을 형성하는 것

2. 철골보, 철골기둥

    가) 허니컴보 : I형강의 웨브를 톱니모양으로 절단한 후 구멍이 생기도록 맞추고 용접하여 구멍을 각 층의 배관에 이용하도록 한 보

    나) 래티스보 : 래티스는 격자란 뜻으로 웨브 부분을 래티스(45°, 60° )로 제작한 것

    다) 격자기둥 : 앵글, 채널 등으로 대판을 플랜지에 직각으로 접한 한 기둥

    라) 형강보 : 형강의 단면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부재의 가공 절차가 간단하고 기둥과 접합도 단순한 보

    마) 판보 : 웨브에 철판을 대고 상하부에 플랜지 철판을 용접하며, 커버플레이트나 스티프너로 보강하는 보

   

 

1. 상대적으로 얇고 길이가 짧은 부재를 상하 그리고 경사로 연결하여 장스팬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는?

    ) 철근콘크리트구조

    나) 블록구조

    ) 트러스 구조

    라) 프리스트레스트 구조

 

장스팬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는 철골구조, PS(프리스트레스트 구조), 트러스 구조가 있는데 경사로 연결은 트러스구조이다.

답은 다)

 

2. 트러스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모든 방향에 대한 응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절점은 강접합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

    ) 풍하중과 적설하중은 구조계산 시 고려하지 않는다.

    ) 부재에 휨 모멘트 및 전단력이 발생한다.

    ) 구성부재를 규칙적인 3각형으로 배열하면 구조적으로 안정된다.

 

1. 절점은 강접합이 아닌 핀접합

2. 풍하중과 적설하중을 고려하여야 하며

3. 부재중에는 응력을 거의 받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답은 라)

 

3. 입체트러스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모든 방향에 대한 응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절점은 항상 자유로운 핀(pin) 집합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

   ) 풍하중과 적설하중은 구조계산 시 고려하지 않는다.

   ) 기하학적인 곡면으로는 구조적 결함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로 평면 형태로 제작된다.

   ) 구성부재를 규칙적인 3각형으로 배열하면 구조적으로 안정이 된다.

 

트러스 : 구조재를 3각형으로 조립하는 형태로 간사이가 넓은 체육관, 격납고, 높은 탑과 같은 구조물에 적당함

답은 라)

 

4. 트러스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지점의 중심선과 트러스절점의 중심선은 가능한 일치 시킨다..

    ) 항상 인장력을 받는 경사재의 단면이 가장 크다.

    ) 트러스의 부재중에는 응력을 거의 받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 트러스의 부재의 절점은 핀접합으로 본다.

 

인장력과 압축력을 받는 부재는 작용하는 응력에 따라 단면의 면적을 달리한다.

답은 나)

 

5. 입체트러스 제작에 활용되는 구성요소로써 최소 도형에 해당되는 것은?

    ) 삼각형 또는 사각형

    나) 사각형 또는 오각형

    ) 사각형 또는 육면체

    라) 오각형 또는 육면체

 

트러스 구조는 삼각형이나 사각형 도형을 최소 도형으로 사용한다.

답은 가)

 

6. 트러스의 종류 중 상현재와 하현재 사이에 수직재로 구성된 것은?

    ) 플랫 트러스

    나) 와렌 트러스

    ) 하우 트러스

    라) 비렌딜 트러스

 

상현재와 하현재 사이에 수직재로 구성된 것은 비렌딜 트러스이다.

 

7. 트러스를 곡면으로 구성하여 돔을 형성하는 것은?

    ) 와렌 트러스

    나) 실린더 셀

    ) 회전 셀

    라) 래티스 돔

 

트러스를 곡면으로 구성하여 돔을 형성하는 것이 래티스 돔이다.

답은 라)

 

8. I형강의 웨브를 톱니모양으로 절단한 후 구멍이 생기도록 맞추고 용접하여 구멍을 각 층의 배관에 이용하도록 한 보는?

    ) 트러스보

    나) 판보

    ) 래티스보

    라) 허니컴보

 

웨브에 구멍이 생기도록 맞추고 용접하여 구멍을 각 축의 배관에 이용하도록 한 보는 허니컴보이다.

답은 라)

 

9. 철골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형강보는 주로 I형강 또는 H형강이 많이 쓰인다.

    ) 판보는 웨브에 철판을 쓰고 상하부에 플랜지철판을 용접하거나 ㄱ형강을 접합한 것이다.

    ) 허니컴 보는 I형강을 절단하여 구멍이 나게 맞추어 용접한 보이다.

    ) 래티스보에 접합판(gusset plate)을 대서 접합한 보를 격자보라 한다.

 

래티스보는 웨브 부분을 래티스(45°, 60°등의)로 제작한 보이고, 플랜지에 직각으로 제작한 보를 격자보라고 한다.

답은 라)

 

10. 강구조의 기둥 종류 중 앵글·채널 등으로 대판을 플랜지에 직각으로 접합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H형강기둥

    나) 래티스기둥

    ) 격자기둥

    라) 강관기둥

 

대판을 플랜지에 직각으로 접합한 것은 격자기둥이다.

답은 다)

 

11. 철골보의 종류에서 형강의 단면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부재의 가공 절차가 간단하고 기둥과 접합도 단순한 것은?

    ) 조립보

    나) 형강보

    ) 래티스보

    라) 트러스보

 

형강의 단면을 그대로 이용하여 부재의 가공 절차가 간단하고 기둥과 접합도 단순한 것은 형강보이다.

답은 나)

 

12. 강구조의 조립보 중 웨브에 철판을 쓰고 상하부에 플랜지 철판을 용접하며, 커버플래이트나 스티프너로 보강하는 것은?

    ) 허니컴 보

    나) 래티스보

    ) 트러스보

    라) 판보

 

플레이트 보-판보는 웨브에 철판을 쓰며, 상하부에 플랜지 철판을 용접하거나 ㄱ형강을 리벳 접합하고 커버 플레이트나 스티프너로 보강한 보이다.

답은 라)

 

 

반응형

'필기 자료실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재의 가공  (0) 2023.03.13
목재  (0) 2023.03.09
철골구조  (0) 2023.03.07
강구조의 특징과 형강  (0) 2023.03.06
철근콘크리트구조  (0) 2023.03.03